2025년을 살아가는 지금, 지난 한 해인 2024년은 지방자치단체 복지정책이 눈에 띄게 진화한 시기였다. 특히 서울, 부산, 대구는 각자의 도시 특성을 바탕으로 1인가구, 고령화, 청년 정책, 돌봄 서비스 확대 등에서 주목할 만한 복지정책들을 시행해 왔다. 이 세 도시의 정책 트렌드는 인구 구조 변화, 지역 재정 여건, 시민 요구의 차이에 따라 다른 방향으로 흘러갔고, 2025년 현재 이 정책들이 시민 삶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비교해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이 글에서는 2024년에 시행된 각 도시의 주요 복지정책들을 분야별로 비교해 보고, 도시별 강점과 차별성을 정리한다.
1인가구 정책: 서울은 '기술', 부산은 '정서', 대구는 '안전'에 초점
1인가구 지원은 전국적으로 가장 큰 화두였다. 서울은 '서울형 안심 1인가구 정책'을 중심으로 스마트기기 활용 및 위기 대응 중심 정책을 강화했다. 대표적으로 활동감지 센서, 안심플러그, 비상 알림 시스템 등이 연계되어, 고독사 방지에 특화된 기술 기반 복지가 눈에 띄었다. 특히 청년 1인가구 대상 정신건강 지원도 앱 기반으로 확대되면서 '디지털+복지' 융합 모델을 선도했다. 반면 부산은 정서적 안정과 공동체 회복에 집중했다. '동행 e음' 프로젝트를 통해 지역 어르신과 청년 1인가구를 연결하는 멘토링 제도를 강화했고, 커뮤니티 기반 요리교실, 영화관람 등 사회적 고립 완화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운영되었다. 특히 지역 자원봉사 네트워크와의 연계가 인상적이었다. 대구는 치안·생활 안전 강화 중심이었다. 특히 남구, 달서구 등 일부 지역에서 시행된 ‘1인가구 안심안전패키지’는 문 열림 감지기, 여성귀가 동행 서비스, CCTV 연계 앱 등을 통해 1인가구 범죄예방에 초점을 맞췄다. 이는 타 도시보다 실질적인 ‘현장 중심 안전’에 집중한 사례로 꼽힌다.
고령자 돌봄정책: 서울은 ‘찾아가는’, 부산은 ‘건강 중점’, 대구는 ‘통합 연계형’
고령화 속도가 빠른 가운데, 세 도시 모두 고령자 돌봄 정책을 전면 개편했다. 서울은 ‘찾아가는 건강 돌봄’과 ‘돌봄 SOS센터’를 기반으로, 보건·복지·생활 서비스를 통합 지원했다. 주기적 방문건강 관리, 생활지원사 파견, 심리 상담까지 통합적으로 운영되었으며, 2024년 기준 25개 자치구 전역으로 확대됐다. 부산은 특히 건강관리 중심의 복지정책을 강화했다. '100세 건강마을 프로젝트'를 통해 어르신 전용 운동센터, 영양 식단 제공, 치매 조기검진 캠페인 등 예방 중심의 건강 돌봄이 주를 이뤘다. 이는 고령자 질환 부담을 줄이고, 자립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는 점에서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대구는 ‘통합 연계형’ 돌봄 모델을 강화했다. 기존의 보건소, 복지관, 민간 요양서비스가 각각 운영되던 체계를 하나의 플랫폼으로 묶는 '대구케어넷'이 핵심이었다. 어르신의 건강 상태, 소득, 주거 상태에 따라 필요한 복지 서비스를 자동 추천·연계해 주는 시스템이 구축되며, 정책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청년·일자리 정책: 서울은 ‘직무역량’, 부산은 ‘지역 정착’, 대구는 ‘창업 육성’
청년 문제는 어느 도시에서도 가장 민감한 이슈였다. 서울은 청년층을 대상으로 청년취업사관학교 확대에 나섰다. 특히 디지털·IT·AI 분야 직무역량 교육과 실무 프로젝트 연계가 강화되었고, 2024년 기준 5개 권역에서 운영되며 실제 취업률 향상으로 이어졌다. 부산은 '청년 지역 정착'에 방점을 찍었다. ‘청년희망드림패스’와 같은 제도를 통해 월세 지원, 생활비 지원, 지역기업 인턴 연계 등을 패키지로 제공하며 청년들의 장기 거주 유도를 시도했다. 특히 지역 커뮤니티 중심 ‘청년정착마을 조성’은 전국에서 주목받은 사례다. 대구는 청년 창업 지원에 적극 나섰다. ‘대구스타트업랩’을 통해 초기 창업팀에 사무공간, 멘토링, 시제품 제작 비용 등을 지원했고, 청년 CEO 육성에 초점을 맞췄다. 특히 2024년부터 청년 대상 소액 창업자금 융자제도를 신설하며, 실제 창업 증가율도 눈에 띄게 상승했다.
2024년 서울, 부산, 대구는 각자의 도시 상황에 맞는 정책 방향을 설정하며 의미 있는 진전을 이뤘다. 서울은 디지털 기반과 시스템화를 통해 선진형 복지 인프라를 확장했고, 부산은 공동체 기반의 정서 복지 강화에 집중했다. 대구는 실용성과 연계성을 강화하며 실질적 체감 복지에 한 걸음 다가섰다. 복지는 정답이 아닌, 도시와 사람에 맞는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2025년 현재, 우리는 이 흐름을 바탕으로 더욱 섬세하고 실효성 있는 복지로 나아가야 한다. 서울이든, 부산이든, 대구든 결국 복지는 사람 중심이어야 한다는 점은 모두가 공유해야 할 가치다.